본문 바로가기
  • 라미의 일상 창고
  • 라미의 맛있는 놀이터
카테고리 없음

라따뚜이, 생쥐 레미의 환상적인 요리

by 라미동그라미 2023. 9. 27.
반응형

요리사들도 인정한 영화

픽사에서 만들고 월트 디즈니에서 배급한 애니메이션 영화입니다. 프랑스를 배경으로 하며 쥐와 요리라는 어울리지 않는 소재를 섞어서 만는 애니메이션입니다. 픽사의 역대 작품 중 가장 큰 호평을 받은 명작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주방에서 절대 있어서는 안되는 동물인 쥐가 맛있는 음식을 만든다는 내용은 이 영화의 주제와 잘 맞게 전개 되었습니다. 또한 실제 요리사들에도 극찬을 받았습니다. 당시 프랑스의 요리사들도 주방의 환경을 완벽하게 재현해 냈다며 칭찬했다고 합니다.  극 중에 나오는 파리의 시내 전경 또한 일품이며 영화 엔딩 때 나오는 저녁의 파리 모습이 매우 아름답게 묘사되고 있어 많은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았습니다. 

모자 속 요리사 레미

생쥐인 레미는 남다른 후각을 갖고 있어 쥐약을 구별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우연히 가게 된 유명 요리사 구스토의 식당에서 주방을 엿보던 레미는 요리에 전혀 재능이 없는 링귀니가 수프를 망치는 것을 보고 안절부절 못하다 그만 주방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탈출하려던 레미는 수프를 다시 요리하게 되고 그 모습을 링귀니에게 들키고 맙니다. 손님들에게 나간 수프가 칭찬을 받게 되고 랭귀니의 실력이라고 오해한 주방장은 링귀니에게 앞으로 수프를 맡으라고 지시합니다. 도망가던 레미를 주방장 스키너는 잡아 죽이라고 하고 랭귀니는 레미를 차마 죽이지 못하고 협력해 요리를 라게 됩니다. 우연히 레미가 링귀니를 머리카락으로 조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고 랭귀니의 모자 안에서 링귀니를 조종하여 요리를 합니다. 랭귀니의 요리를 못마땅하게 생각하던 스키너는 손님들이 새로운 것을 원한다는 말에 링귀니를 골탕먹이기 위해 특별요리를 맡게 합니다. 레미의 도움으로 랭귀니는 요리를 성공시킵니다. 다시 가족을 만난 레미는 아버지로부터 인간들을 조심하라는 충고를 듣지만 다시 주방으로 돌아갑니다. 술에 취해 주방에서 잠을 자다가 아침 일찍 꼴레뜨를 마주친 링귀니는 변명을 하려다 레미의 정체를 밝히려고 합니다.  레미는 이를 막으려다 꼴레뜨와 링귀니는 입맞춤을 하게 되고 둘은 연인 사이가 됩니다. 

링귀니에게 식당을 뺏길까봐 걱정하던 스키너는 계속해서 링귀니 뒤를 밟습니다. 어느날 레미는 가족들에게 음식을 가져다 주려고 음식 창고 열쇠를 찾다가 링귀니가 구스토의 아들임을 알게 됩니다. 그 후 식당은 레미 덕분에 과거의 명성을 되찾게 되고 링귀니는 사람들의 주목을 받게 됩니다. 음식 비평가 이고가 링귀니를 찾아와 선전포고를 하고 신경이 예민해져 있는 링귀니는 레미와 다투게 됩니다. 링귀니에게 실망한 레미는 가족들을 데리고 음식창고 음식을 훔치고 레미와 화해하러 온 링귀니에게 들켜 식당에서 쫓겨나게 됩니다. 

스키너는 결국 레미를 잡아가고 레미 없이 요리 할 수 없는 링귀니는 계속 도망만 다니게 됩니다. 결국 링귀니는 그동안 자신이 한 요리가 아니고 레미한 요리임을 밝히게 되고 모든 요리사들은 주방을 떠나게 됩니다.  가족들은 데리고 돌아온 레미는 라따뚜이를 만들어 이고에게 대접하고 이고는 요리에 감동해 주방장을 기다렸다가 진실을 알게 됩니다. 그 후 위생관리국 직원에 의해 식당은 폐쇄되지만 레미는 진짜 주방장으로 요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프랑스 요리 라타투이

라타투이는 프랑스 프로방스 지역의 대표 요리입니다. 가지, 호박, 피망, 토마토 등의 채소에 허브와 올리브오일을 넣고 끓인 채소 스튜입니다. 18세기 경 프랑스 니스에서 비롯되어 프로방스 전역으로 퍼진 요리입니다. 애니메이션이 흥행하면서 더 유명해진 요리입니다. 영화 라따뚜이의 마지막 장면에서 프랑스 최고의 음식 평론가를 감동시키는 프로방스의 소박하고 따뜻한 요리로 소개 되고 있습니다. 라타투이는 전체 요리 또는 가벼운 식사로 주로 먹는 다고 합니다. 특히 여름철에 즐겨 먹으며 프로방스 지방에서는 로제 와인을 곁들여 함께 먹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라타투이는 모든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익히기도 하고 각각을 따로 익혀 섞어서 만들기도 합니다. 전통을 고집하는 사람들은 채소 각각을 따로 익혀 섞는 방법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반응형